본문 바로가기

프리미어 프로 튜토리얼(Adobe Premiere Pro)

👂[15편] 프리미어프로: 오디오 노이즈 제거 및 음질 개선

반응형

"영상 소리가 이상해요… 잡음이 너무 심해요"

영상 음질 문제는 시청자 이탈의 주요 원인입니다. 프리미어 프로 오디오 효과를 활용해 노이즈를 제거하고 목소리를 선명하게 만드는 '오디오 클린업'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오디오 문제로 고민하는 분들을 위한 필수 가이드입니다.


🎙 왜 오디오 클린업이 중요할까요? '귀르가즘'이 곧 '시청 지속'

시청자는 영상의 시각적인 요소에 먼저 끌리지만, 궁극적으로 영상을 끝까지 시청하게 만드는 것은 깔끔하고 명료한 사운드입니다. 오디오 클린업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청자 이탈 방지: 불필요한 잡음이나 낮은 음질은 시청자의 집중을 방해하고 귀를 피로하게 만듭니다. 이는 시청자가 영상을 끄는 가장 흔한 이유 중 하나.
  • 정보 전달력 향상: 배경 소음 없이 명확하게 들리는 목소리는 영상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며, 시청자가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도움.
  • 전문성 및 신뢰도 향상: 잡음 없이 잘 정돈된 사운드는 영상의 전체적인 퀄리티를 높이고, 제작자가 영상에 공을 들였음을 보여주어 시청자에게 전문성과 신뢰감을 줌.
  • 감성 및 분위기 조성: 깔끔한 사운드는 영상의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이 의도하는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영상의 감성적인 깊이를 더함.

결론적으로, 오디오 클린업은 단순히 '잡음을 제거하는' 작업을 넘어, 시청자에게 쾌적한 청각 경험을 제공하여 영상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핵!


🧼 Step 1: 기본 오디오 클립 정리: 깨끗한 사운드의 첫걸음

본격적인 오디오 효과를 적용하기 전에, 오디오 클립 자체를 최적화하는 기본 정리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이는 불필요한 사운드를 제거하고 전체적인 볼륨 레벨을 안정화하는 과정입니다.

  1. 오디오 클립 선택 및 [효과 컨트롤] 열기:
    • 편집하고 싶은 오디오 클립을 타임라인에서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 상단 메뉴 **[창(Window) > 효과 컨트롤(Effect Controls)]**을 열거나, 단축키 **[Shift + 5]**를 눌러 패널을 활성화합니다.
  2. 오디오 게인(Audio Gain) 조정:
    • 음성 클립의 소리가 너무 작게 녹음되었을 경우, 볼륨을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는 기능입니다.
    • 클립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오디오 게인(Audio Gain)]**을 선택합니다.
    • 나타나는 창에서 **[게인 조절(Adjust Gain By)]**에 +3~6dB 정도의 값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dB 값은 오디오 미터(Audio Meters) 패널을 보며 -6dB ~ -12dB 사이를 목표로 조절)
  3. 불필요한 부분 컷 편집:
    • 녹음된 오디오에서 말소리가 없는 숨 쉬는 소리, 머뭇거리는 구간, 긴 침묵 구간, 잡음이 심하게 들어간 부분 등을 **[C] 레이저 툴(Razor Tool)**로 과감히 자르고, **[V] 선택 툴(Selection Tool)**로 선택 후 Delete 키를 눌러 제거합니다. 이 과정은 영상의 호흡을 빠르게 만들고 불필요한 잡음 유입을 최소화합니다.

🛠 Step 2: 노이즈 제거 효과 적용하기: 'DeNoise'로 깔끔하게!

프리미어 프로는 기본적인 노이즈 제거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도 깔끔한 사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바로 ‘DeNoise(디노이즈)’ 이펙트입니다.

  1. [효과] 패널 열기:
    • 상단 메뉴 **[창(Window) > 효과(Effects)]**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Shift + 7]**을 눌러 효과 패널을 엽니다.
  2. ‘DeNoise’ 검색 및 적용:
    • 효과 패널 검색창에 ‘DeNoise’ 또는 **‘노이즈 감소’**를 검색합니다.
    • **‘오디오 효과(Audio Effects) > 노이즈 감소/복원(Noise Reduction/Restoration) > DeNoise’**를 찾습니다.
    • ‘DeNoise’ 이펙트를 노이즈를 제거하고 싶은 오디오 클립에 드래그하여 적용합니다.
  3. 강도 조절:
    • 클립에 DeNoise를 적용한 후, 선택된 클립의 [효과 컨트롤] 패널로 이동하여 ‘DeNoise’ 효과를 찾습니다.
    • ‘강도(Amount)’ 슬라이더를 조절하여 노이즈 제거 정도를 설정합니다. 기본 10%~15% 정도를 추천합니다.
    • ⚠️ 주의: 강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면 노이즈가 제거되면서 목소리도 함께 뭉개지거나 로봇처럼 부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습니다. 소리를 들으면서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야 합니다.

💡 팁: 배경 소음이 매우 심한 경우, 어도비 오디션(Adobe Audition)에서 상세한 노이즈 제거 작업을 한 후 프리미어 프로로 가져오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리미어 프로의 기본 DeNoise만으로도 대부분의 일상적인 소음은 충분히 개선 가능합니다.


🎛 Step 3: EQ(이퀄라이저)로 목소리 선명하게 만들기: 또렷한 전달력!

**EQ(이퀄라이저)**는 오디오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조절하여 목소리를 더욱 또렷하고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1. ‘Parametric Equalizer’ 검색 및 적용:
    • 효과 패널 검색창에 ‘EQ’ 또는 **‘이퀄라이저’**를 검색합니다.
    • **‘오디오 효과(Audio Effects) > 필터 및 EQ(Filter and EQ) > Parametric Equalizer’**를 찾습니다.
    • 이 이펙트를 오디오 클립에 드래그하여 적용합니다.
  2. 프리셋 선택 및 조절:
    • [효과 컨트롤] 패널에서 ‘Parametric Equalizer’ 효과를 찾습니다.
    • ‘사전 설정(Preset)’ 드롭다운 메뉴에서 **‘Vocal Enhance (보컬 강조)’**를 선택합니다. 이 프리셋은 일반적으로 사람 목소리에 최적화된 설정을 제공합니다.
    • 필요에 따라 EQ 그래프를 직접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주로 **중간 대역(Mid-Range, 1kHz~4kHz)**을 살짝 올려주면 말소리가 더 쨍하고 또렷하게 들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팁: EQ는 간단하지만, 그 효과는 매우 강력합니다. 적절한 EQ 조절만으로도 목소리에 생명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니, 꼭 사용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 Step 4: Compressor(컴프레서)로 목소리 안정화: 볼륨 균일화!

**컴프레서(Compressor)**는 오디오 클립 내에서 소리가 너무 작거나, 반대로 갑자기 커지는 현상(예: 웃음소리, 큰 기침 소리)을 잡아주어 전체적인 볼륨 크기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입니다.

  1. ‘Multiband Compressor’ 검색 및 적용:
    • 효과 패널 검색창에 ‘Compressor’ 또는 **‘컴프레서’**를 검색합니다.
    • **‘오디오 효과(Audio Effects) > 진폭 및 압축(Amplitude and Compression) > Multiband Compressor’**를 찾습니다.
    • 이 이펙트를 오디오 클립에 드래그하여 적용합니다.
  2. 프리셋 선택:
    • [효과 컨트롤] 패널에서 ‘Multiband Compressor’ 효과를 찾습니다.
    • ‘사전 설정(Preset)’ 드롭다운 메뉴에서 ‘Broadcast’ 또는 **‘Vocal Leveler’**를 선택합니다. 이 프리셋들은 방송 환경이나 보컬 트랙에 최적화되어 있어, 음량의 편차를 효과적으로 줄여줍니다.
    • 요 이팩트는 정말 애정하는 기법이예요!! 꼭꼭 사용해보시길 권장합니다>.< 

💡 팁: 컴프레서는 오디오 볼륨을 자연스럽게 "다듬어주는" 역할을 하여, 시청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내내 일관된 볼륨으로 편안하게 들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Step 5: 오디오 트랙 믹서 팁: 프로페셔널한 볼륨 밸런스

여러 오디오 트랙(목소리, 배경 음악, 효과음)이 동시에 사용되는 영상에서는 볼륨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오디오 트랙 믹서(Audio Track Mixer) 패널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프로페셔널한 사운드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 목소리(Voice/Dialogue):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다른 모든 소리보다 명확하게 들려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미터에서 -6dB ~ -12dB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배경 음악(Background Music): 목소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영상의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목소리보다 훨씬 작게, 보통 -25dB 이하로 조절합니다.
  • 사운드 이펙트(SFX): 특정 시각적 효과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황에 따라 볼륨을 조절합니다. 일반적으로 -10dB ~ -15dB 사이에서 적절하게 배치합니다.

💡 팁: 타임라인에서 각 오디오 클립의 레벨 선을 직접 조절하거나, 오디오 트랙 믹서에서 각 트랙의 페이더(볼륨 조절기)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밸런스를 맞춥니다.


🎯 실습 과제: 나만의 깔끔한 사운드 만들기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오디오 클린업 작업을 해보면서 감각을 익혀보세요.

  1. 마이크로 녹음한 음성 클립 불러오기: 스마트폰 녹음 앱으로 간단히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거나, 기존 영상에서 배경 소음이 약간 들어간 음성 클립을 준비합니다.
  2. DeNoise 효과 적용해 노이즈 제거: 해당 음성 클립에 ‘DeNoise’ 효과를 적용하고, 강도 슬라이더를 조절하며 노이즈가 가장 깔끔하게 제거되는 지점을 찾아봅니다.
  3. EQ(Vocal Enhance) + Compressor 조합 적용:
    • 이어서 ‘Parametric Equalizer’ 효과를 적용하고 ‘Vocal Enhance’ 프리셋을 선택합니다.
    • 마지막으로 ‘Multiband Compressor’ 효과를 적용하고 ‘Broadcast’ 또는 ‘Vocal Leveler’ 프리셋을 선택합니다.
  4. 전/후 비교해서 사운드 품질 체크: 모든 효과를 적용하기 전의 원본 음성 클립과 적용 후의 클립을 번갈아 재생하며 사운드 품질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직접 비교하고 느껴봅니다.

📌 마무리: 오디오 클린업, 영상 퀄리티 보장

오디오 클린업은 영상 편집에서 가장 간과되기 쉬우면서도, 영상 퀄리티를 소리로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말소리가 명확하게 들리고, 불필요한 잡음이 없는 영상은 그 자체로 시청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전문적인 인상을 줍니다. 오늘 알려드린 DeNoise + EQ + Compressor의 기본 조합만 익혀도 당장 여러분의 영상 사운드는 눈에 띄게 달라질 거예요!! 그럼 안녕히 계세요.

반응형